이번 시간에는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물이 세다’와 ‘물이 새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의미와 용법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맞춤법을 익혀 올바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세다’와 ‘새다’의 정의 및 차이점

1) ‘세다’의 의미와 용법

‘세다’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사물의 수를 헤아리거나 꼽다.
- 힘이나 기세 따위가 많다.
- 물이나 불, 바람의 기세가 크거나 빠르다.
- 능력이나 수준 따위가 높거나 심하다.
- 머리카락이나 수염 따위의 털이 희어지다.
예를 들어, “바람이 너무 세다”는 바람의 힘이 강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새다’의 의미와 용법

‘새다’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기체나 액체 따위가 구멍이나 틈으로 조금씩 빠져나가거나 나오다.
- 빛이나 소리가 물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 나거나 들리다.
- 돈이나 재산 따위가 조금씩 없어지다.
- 비밀이나 정보 등이 몰래 밖으로 알려지다.
- 말이 본론에서 벗어나다.
예를 들어, “천장에서 물이 샌다”는 천장에서 물이 조금씩 흘러나온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물이 세다’와 ‘물이 새다’의 올바른 표현

‘물이 세다’와 ‘물이 새다’는 모두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지만, 상황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 ‘물이 세다’는 물의 흐름이 강하거나 빠르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이 세다.”

- ‘물이 새다’는 물이 틈이나 구멍을 통해 조금씩 흘러나온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수도관에서 물이 샌다.”
따라서,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세다’와 ‘새다’의 예문 비교

표현 | 의미 | 예문 |
---|---|---|
세다 | 힘이나 기세가 강하다 | 바람이 너무 세다. |
새다 | 액체나 기체가 틈으로 빠져나오다 | 천장에서 물이 샌다. |
한 번 더 친절한 요약!
항목 | 주요 포인트 |
---|---|
세다 | 기세·힘이 강함 (예: 물살이 세다) |
새다 | 액체·기체가 틈으로 빠져나옴 (예: 물이 샌다) |
혼동 주의 | 발음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뜻 |

‘세다’와 ‘새다’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지닌 단어입니다.
‘세다’는 힘이나 기세가 강하다는 의미, ‘새다’는 액체나 기체가 틈으로 빠져나온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정확한 상황 판단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맞춤법을 익히고 사용하는 것은 정확한 의사소통의 첫걸음입니다.
앞으로 이 두 단어를 사용할 때는 맥락과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 더욱 바른 표현을 구사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건 꼭! 알아야 해! 인기글 TOP 3 ! 에 대해서도 미리 배워보아요.
금괴 골드바 1kg 가격 알아보자
금괴 골드바 1kg 가격 알아보자
이번 시간에는 금괴 골드바 1kg가격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세계적으로 금값의 안정성과 가치가 인정받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1kg 골드바는 그 가치가 더욱 높아, 투자를 고려하는
pullrich.tistory.com
1리터는 몇kg 무게는?
1리터는 몇kg 무게는?
우리의 일상은 수많은 단위와의 만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특히, 요리를 하거나 과학 실험을 준비할 때, 심지어 건강을 관리하면서도 우리는 다양한 단위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1리
pullrich.tistory.com
시그니처 뜻 (signature)
시그니처 뜻 (signature)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우리는 '시그니처(Signature)'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
pullrich.tistory.com
"도움이 되셨나요? 좋은 글을 위해 공감은 힘이 됩니다."
'꿀팁 저장소 > 바른 용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제와 결재의 차이 (+ 표 정리) (4) | 2025.05.16 |
---|---|
밤을 세다 새다 비교 맞춤법(+ 표 정리) (1) | 2025.05.14 |
데요 대요 구분 맞춤법(+표정리) (0) | 2025.05.12 |
데 대 구분 비교(+표정리) (1) | 2025.05.11 |
다행히 다행이 비교 차이 및 올바른 맞춤법 (0) | 2025.05.09 |